본문 바로가기
영화 공연 (劇)

中庸, 그 뜻을 듣다

by Khori(高麗) 2019. 12. 18.
728x90
반응형

 읍내에 회의가 있어서 나갈 일이 있었는데 마침 "오십, 중용이 필요한 시간" 북 콘서트를 한다. 거리가 멀지 않아서 신청했는데 오라는 문자를 받아서 다녀왔다.

 

 EBS 강연도 보고, 도올 선생 책도 보고, 동양 고전 책에서 조금씩 소개되는 중용의 조각들을 본 적이 있다. 그러나 가장 인상적인 말은 집기양단(執其兩端)이란 말이다. 이 말을 생각하면 확연한 선과 불명확해 보이듯 하지만 어떤 선이 존재라는 생각이 많이 난다. 공자님이 여획이라고 자신을 한계 짓지 말고 정진할 것을 말하고, 도덕경을 보면 도는 이거다라도 명확하지 않다. 왜 이런 말들이 같이 생각나는지 나도 잘 모르겠다. 아는 게 없어서일지 모른다.

 

 인간은 결코 동일한 동작을 두 번 할 수 없다. 비슷한 행동을 할 수 있다. 또 절대 움직이지 않고 멈추지도 못한다. 계속 고뇌하고 갈등하는 사람의 모습을 상징하는 것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획이란 선처럼 선명한 것이 좋아 보이지만, 그것을 오래 버티지도 못하는 것이 또 사람이기 때문이다.

 

 집기양단이란 말을 생각할 때마다 내가 마주한 상황의 다양한 관계 속에서 균형을 잡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하는  어설픈 나의 모습이 생각난다. 나는 그것을 내 마음과의 끊임없는 투쟁이라고 부른다. 2D의 모습으로 보면 좌우의 이분법적인 모습으로 보인다. 그러나 삶이란 현실은 3D란 공간에 존재한다. 이런 입체적인 생각을 통해서 좌우가 아니라 앞과 뒤가 있음을 알게 된다. 이런 생각을 갖고 맨 뒷자리에 앉아서 듣기 시작했다.

 

 고전도 현재에 맞게 더 재미있게 스토리 구성이 되었다면 훨씬 좋았겠다는 생각이 든다. 노교수가 거의 100페이지에 가까운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열심히 설명하신다. 고전을 시각화하고 중용이 말하는 생각의 본질을 더 재미있게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해봤다. 

 

 "옳고 그름의 문제와 좋고 싫음의 문제가 인간 생활에서 가장 큰 영향을 준다. 이 네 가지 고민 속에 교수님의 균형 방법에 대한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요약하면 이런 질문을 했다. 이런 우문에 현답을 신실하게 해 주셨다.

 

 "사람은 심지가 굵은 사람도 있고, 문풍지처럼 얇은 사람도 있다. 中이란 균형을 말하고, 庸이란 일관성과 반복적인 노력을 말한다.(반복을 통해서 체득한다는 의미로 이해)"라는 말을 통해서 마음속에 품던 생각을 다시 생각해 봤다. 

 

 사람에게 절대란 너무 먼 것이다. 하지만 방향이 중요하고, 그 방향을 삐뚤빼뚤 걷지만 언제나 돌아오려는 나만의 방향과 기준이 존재한다. 그것이 좋은 방향인지 스스로의 마음을 잘 돌아보는 것으로 점검한다. 동시에 그 방향으로 나아가는 나의 걸음이 내가 물어본  가지의 조건에서 시달리더라도 굳건해야 조금씩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있다는 생각을 다시 한번 스스로 다지게 됐다. 삶의 방향은 입체적인 현실에서  정확하게   있고,  방향은   마음에서 결정되기 때문이다. 

 

#북콘서트 #중용 #신정근 #21세기북스 #khori 읍내에 회의가 있어서 나갈 일이 있었는데 마침 "오십, 중용이 필요한 시간" 북 콘서트를 한다. 거리가 멀지 않아서 신청했는데 오라는 문자를 받고 다녀왔다.

 

 EBS 강연도 보고, 도올 선생 책도 보고, 동양 고전 책에서 조금씩 소개되는 중용의 조각들이 기억난다. 가장 인상적인 말은 집기양단(執其兩端)이다. 이 말을 생각할 때마다 확연한 선과 불명확해 보이지만 존재하는 선이 떠오흔다.

 

 공자님은 여획이라고 자신을 한계 짓지 말고 정진할 것을 말하고, 도덕경을 보면 도는 무엇이다라고 말하기전에 알듯 모를듯한 말하기 어려운 무언가를 떠오르게한다. 쉽게 설명하지 못하니 스스로 잘 모르는 것이다.  ‘아는 게 없어서’하는 말이 더 정확하다.

 

 인간은 결코 동일한 동작을 두 번 할 수 없다. 단지 비슷한 행동을 한다. 절대 움직이지 않고 멈추지도 못한다. 계속 고뇌하고 갈등하는 사람의 모습을 상징하는 것처럼 떨림이란 말이 생각난다. 불안, 공포, 초조, 희열, 기쁨과 같은 희노애락에 가슴 졸이는 순간처럼. 획이란 선명한 것이 좋아 보이지만, 사람은 그것을 오래 버티지도 못한다.

 

 집기양단이란 말을 생각할 때마다 내가 마주한 다양한 상황과 관계 속에서 균형을 잡기 위한 어설픈 나의 모습이 생각난다. 나는 그것을  마음과의 끊임없는 투쟁이라고 부른다. 2D의 모습으로 보면 좌우의 이분법적인 모습으로 보인다. 그러나 삶은 현실속에 3D처럼 입체적으로 존재한다.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서 입체적인 관찰과 사고를 통해서 앞과 뒤. 위아래가 있음을 생각해본다. 이런 생각을 갖고 맨 뒷자리에 앉아서 듣기 시작했다.

 

 고전도 현재에 맞게 더 재미있는 스토리 구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노교수가 거의 100페이지에 가까운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열심히 설명하신다. 고전을 시각화하고 중용이 말하는 생각의 본질을 더 재미있게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해봤다. 텍스트의 분석이 필요한 분야가 있고, 나같은 부족한 사람에겐 인간의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옳고 그름의 문제와 좋고 싫음의 문제가 인간 생활에서 가장 큰 영향을 준다. 이 네 가지 고민 속에 교수님의 균형 방법에 대한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요약하면 이런 질문을 했다. 이런 우문에 현답을 신실하게 해 주셨다.

 

 "사람은 심지가 굵은 사람도 있고, 문풍지처럼 얇은 사람도 있다. 中이란 균형을 말하고, 庸이란 일관성과 반복적인 노력을 말한다.(반복을 통해서 체득한다는 의미로 이해)"라는 말을 통해서 마음속에 품던 생각을 다시 생각해 봤다.

 

 사람에게 절대란 너무 먼 것이다. 방향이 중요하고, 그 방향을 삐뚤빼뚤 걷지만 언제나 돌아오려는 나만의 방향과 기준이 존재한다. 그것이 좋은 방향인지 스스로의 마음을 잘 돌아보는 것으로 점검한다. 동시에 그 방향으로 나아가는 나의 걸음이 내가 물어본 네 가지의 조건에서 시달리더라도 굳건해야 조금씩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다는 생각을 다시 한번 스스로 다지게 됐다. 삶의 방향은 입체적인 현실에서 더 정확하게 볼 수 있고, 그 방향은 또 내 마음에서 결정되기 때문이다.

 

#북콘서트 #중용 #신정근 #21세기북스 #khori

 

 

 

오십, 중용이 필요한 시간
국내도서
저자 : 신정근
출판 : 21세기북스(북이십일) 2019.12.11
상세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