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冊)

개화기와 대한제국 1876-1910

by Khori(高麗) 2014. 12. 1.
728x90
반응형

[도서]개화기와 대한제국 1876-1910

박도 편저
눈빛 | 2012년 10월

내용 편집/구성 구매하기


개항의 시대 1876년부터 대한제국 망국의 1910 35년에 대한 기록을 사진으로 남긴 책이다. 책의 겉지 안쪽에 나와 있는 말이 인상적이다. 망국의 원인을 지도층의 무능과 부정부패로 말하는 그의 심정을 충분히 이해한다. 더 많은 권한과 책임을 진 지도층, 그 권한을 이용하여 일사늑약, 정미7조약, 강제한일병탄을 시행한 자들의 죄는 무엇으로도 바꾸지 못할 만큼 크다. 그렇지만 이회영과 같이 많은 노력을 한 지도층, 혈죽으로 그의 죽음을 애틋해한 민영환도 있다. 그렇다고 모든 민중들이 동학농민운동, 의병활동을 한것만도 아니다. 훌륭한 지도가 한명이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지만, 국민 대다수의 의식과 교육이 올라간다면 나는 그것이 훨씬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책의 편지방식이 대단히 교묘정치하다. 첫 시작은 놀랍게도, '근대의 이중성과 대한제국의 종말 - 외국인의 눈으로 본 한국의 근대'라는 소논문으로 시작한다. 한국근대의 시점을 개항에 맞춘이유는, 근대라는 정의가 휴머니즘, 자유와 평등을 지향하는 정치체제, 산업혁명 후 자본주의 경제시스템, 과학, 대중문화로 설명하지만 우리의 역사는 동북아시아의 정세와 맞물려 대단히 복잡하다. 개항과 더불어 시민혁명과 같은 동학농민운동, 중국중심의 화이질서체계에서 만국공법과 같은 국제규범과 조약의 시작, 개항으로 묶어서 한국 근대의 시작을 말하는 것은 나름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근대의 시작과 함께 시작된 사진을 곁들여서 세상을 풀어가는 방식이 대단히 이채롭다. 개인적으로는 페이스북에서 Designer Party라는 곳을 통해서 다양한 근현대 사진, 영상을 볼 수 있어 좋아한다. 역사책으로 보는 것과 그 시대를 사진을 통해서 본다는 것은 색다르기도 한데 이 책은 그 맛을 아주 제대로 살린듯 하다. 사진의 70%정도는 본 기억들이 많은데 처음보는 사진들도 많다. 게다가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서 서류문서들과 조금의 불편함과 아쉬움이 있었는데 그 모지란 바를 이 책을 통해서 조금 더 본듯하다.

1863년 이의익 중국에 갔다가 러시아 사람들에 의해서 처음 찍게되었고, 본인이 가장 연장자이기에 먼저 찍었다고 한다. 그의 글에 사진이란 말이 가장 먼저 나온다. 사진이라고 하면 과거 초상의 의미였다고도 한다. 사진(寫眞)이란 글의 의미가 사(寫)란 글자는 베끼다라는 뜻이기도 하지나만 실물과 같다는 의미이고, 진(眞)이란 참되단 뜻은 그 피사체가 아니라 그 피사체가 내재하고 있는 내면의 정신세계란 의미라고 말한다. 

그 말을 통해서 우리가 사진이란 작품속에서 실물을 옮기는 것을 넘어 다양한 눈빛, 표정, 설정등에 따른 말로 옮기기 힘든 의미를 얻게 되고, 그것이 역사적 사실의 현장이라면 더 큰 의미를 전달하기에 충분하다는 생각이 있다.

책은 1876년부터 1910년까지 각 1년을 단위로 기술되고, 보여진다. 간략한 그 해의 요약, 정치, 사회, 문화, 생활에 대한 요약과 그해의 중요한 사건의 연대기적 기술등은 돋보이는 정리다. 또한 사진에 대한 설명과 그 중간중간 다양한 책에서 발췌한 외국인들이 바라본 의견을 곁들임으로 그 시대에 대한 우리의 아픔과 외국인의 시각에서 본 느낌, 예상들을 같이 돌아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중간중간 다양한 글들이 추가되어 있다. 강준식 작가의 독도에 대한 정리와 고찰은 참 의미있다. 1905 을사늑약으로이 조약적 무효성은 존재하지만 일본이 독도를 시네마현으로 편입한 것이 1905, 2월이고 을사늑약은 11월이다. 이 9개의 공백기간 외교적 역할의 부족을 지적하는 것, 그리고 학교에서 많은 내용이 교육되지 못하는 1951년 샌프란시스코조약에서 독도가 빠진 이유가 이것이고 일본이 사법재판소로 끌고가려는 의도라는 것은 우리가 독도의 역사에 대해서 좀더 깊이있게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1900 대한제국칙령에 석도(독도)의 법령을 통해서 우리의 땅임을 확실히 한다. 


뒤편에는 많은 잊혀진 의병장들의 소개와 현실을 말하고 있다. 나라를 위해서 힘쓰고, 힘들게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국가의 대우를 다시한번 생각해보게된다. 어는 독립운동가가 자식이 독립운동을 하면 말리라는 말이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한 무너진 identity의 현주소라는 것이 아쉽다.


사진이 년도별로 올리기가 힘들어서 무작위로 몇개 첨가해 봅니다.

 
신미양요 잃어버린 군기                              명성황후 시대 자객들의 단체사진
미 육사인가에 있는 것으로...찾와야              한성신문사 앞
 
고종의 사진인데 이건 처음 봅니다.                농학군..이름모를 사람이나 사진에서 포스가..

이사벨라 버드 비숏부인                                                매천 황헌
동학농민운동, 청일전쟁시기에 많은 사진을..

  
대마도로 압송되는 최익현                            루즈벨트의 탈 앨리스.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알리려 홍릉을 보냈더니
                                                               석상을 타고 사진을.......

누군지도 잘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인 의병장들의 사진

영친왕, 이토히로부미, 이완용등 친일의 실세들의 종합사진..

728x90
반응형

'역사 (冊)'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보도사진 (1967~1979)  (0) 2015.01.12
일제 강점기  (0) 2014.12.05
신동삼 컬렉션 - 독일인이 본 전후 복구기의 북한  (3) 2014.09.03
한국사, 나는 이렇게 본다  (0) 2014.09.01
겹겹  (0) 201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