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이란 '만들어 판다'는 간단한 문장에서 시작한다고 생각한다. 그 뒤에 다양한 형용사 부사가 붙고, 멋진 디자인과 은유적 표현이 더해지고, 더 나아가 사업과 세상을 새롭게 규정하고 세상에 공헌하는 방식으로 미션과 비전을 만든다.
가장 중요한 것은 프레젠테이션에서 말한 미래의 모습과 현실의 격차를 줄이고 상상을 현실로 이끌어내는 과정이다. 스타트업, 창업이란 분야에 한정에서 성공 확률을 올리는데 효과적인 다양한 단계적 조언을 책 속에 담으려는 차분한 노력이 담겨있다. 이 복잡한 과정을 보면 준비하는 사람, 창업을 한 사람, 창업을 유지 성공하는 사람 모두에게 다시 한번 초심으로 돌아가 스스로를 돌아보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
책을 읽고 내가 다시 한번 떠올린 말은 "좋은 결과는 대부분 좋은 선택에서 시작한다"라는 말이다. 덧붙이고 싶은 말은 "좋은 선택은 올바른 준비에서 시작하고, 올바른 준비는 지식, 경험, 바른 성품을 기초로 구성된다"라고 말하고 싶다. 지식, 경험, 올바른 성품이 적절한 상황, 때, 장소, 지위에 맞게 구현하는 실력을 쌓기 위해 우리는 반복적으로 삶의 챗바퀴를 돌고 있다.
창업의 준비과정과 궤도로 오르며 경영자로 나아가기 위한 조언 36가지가 책 속에 남겨 있다. 많은 부분은 직무 속에서 해 본 일들이 많다. 한 가지 스스로 창업자를 해보지는 않았지만 그런 과정들의 경험은 갖고 있다.
사업계획서를 만들고, 그것을 현실의 세계에 구현하는 일은 아트라고 해도 무방하다. 창업 준비와 관련된 조언 중 눈에 띄는 항목이 있다.
"문제 인식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은 창업에만 중요한 것은 아니다. 세상을 살아가는 경쟁력이다. 책에서 문과형, 이과형을 나누지만 사실 의미가 없다. 예를 들어 경영과 영업능력이 있는 창업자는 연구 개발인력을 더하고, 재무 회계에 대한 도움이 필요하다. 연구 개발인력의 창업자는 시장개척과 영업, 마케팅, 회계, 재무 등의 인력을 더 해야 한다. 누가 우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기업을 구성하는 기능적 분업체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게임, 투자에서 경쟁력을 5 각형의 역량평가를 보며, 우리의 강점을 살리고 약점은 최소화하는 전략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사업계획서를 보면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어려운 문제라고 생각한다. 어떤 제품 또는 서비스를 만들어 세상에 도전하는 것은 희망만으로 이룰 수 없다. 현실에서 목표 구현을 위한 인력, 투자자금, 운영자금 소요를 예측하고, 그 목표를 구현해가는 과정에 따라 기업활동에 대한 작업 분류가 일정에 따라 실행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회사의 연간 사업계획서도 첫 사업계획에서 발전된 버전에 가깝다.
"스타트업 놀이와 좀비벤처"란 항목이다. 주변에 창업을 한 사람들의 농담이 스타트업은 특허 조건 등을 보면 새롭게 시작하는 것보다 하던 사람들이 다시 하는 경우가 많다는 농담을 한다. 회사에서 사장놀이, 임원 놀이하는 사람들이 많으면 부실해지듯, 스타트업 놀이로 매일 연구 노트와 상용화가 의문스러운 기술을 만들면 나라 예산으로 연명하는 가망성 없는 스타트업은 별반 차이가 없다. 창업의 수준도 올라가야 하지만 창업지원이란 이름하에 이렇게 돌아가는 현실의 제도도 변화가 필요하다. 창업이 간접적 고용지원책이라고 할 수 있지만 어떤 산업을 육성해서 어떻게 산업을 만들까라는 국가정책의 중요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스타트업 기간이란 회사의 꼴을 만드는 과정이다. 될성부른 떡잎이 될지 판단하는 기간이 될 수 있다. 될성부른 떡잎이 되면 이에 따른 교육과정과 지원이 따르듯, 창업자는 특정한 제품과 서비스 기반의 사업을 본격적인 궤도로 올리는(시장에 투입하는) 과정이 된다. 궤도에 올라가면 지속경영을 위한 성장과 발전을 해야 하고, 반드시 경영자로 발전해야 한다. 내 경험에서는 스타트업에서 창업자이자 개발자에서 IPO를 한 분들은 여러 분 보게 되었지만 올바른 경영자에 다가선 분은 1분 정도다. 세상에 더 많은 도전자들이 기업을 만들고 발전시키지만 이런 분을 봤다는 것만으로도 좋은 경험이다.
책의 곳곳에서 표현을 뒤집어보면 인문학적인 접근이 많다. 세상이 많은 일을 기계가 처리하지만, 기계는 사람이 운영하고 사람을 위해서 도입한다. 모든 문명은 사람 중심의 사고를 요하고, 그 분야에서 일하는 기업과 경영자에겐 당연한다. 이것을 깨닫고 직무적인 성과 도출과 통합하는 것이 좋은 성과를 내는 길이다.
한 가지 첨언한다면 창업자는 안 하는 것이 없는 사람일 때가 많지만 경영자는 모든 것을 실무자처럼 이해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본질적인 접근이 더 필요하다. 이런 차이는 사람의 구성과 역할에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창업자나 경영자가 기업의 언어인 재무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관리 역량은 필요하다. 금전출납부를 잘 정리하고 돈을 모으는 사람이 꼭 공부를 잘하는 것은 아니다. 기업의 성과가 어떤 상황인지 알아야 좋은 의사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술창업 #사업계획 #스타트업 #창업자 #경영자 #독서 #좋은습관연구소 #khori
'경영_경제_IT(冊)'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규칙이 바뀌면 행동이 바뀐다, 윤전기의 종말일까? - 자이언트 임팩트 (5) | 2022.11.10 |
---|---|
투자, 경제, 비즈니스 그리고 삶에 관하여 - 찰리멍거의 말들 (0) | 2022.10.10 |
지식으로 받아들이고, 지혜로 분출하라 - 워런 버핏과의 점심식사 (0) | 2022.08.15 |
경영은 수렴된 숫자를 넘어서는 활동이다 - 사장을 위한 마지막 경영 수업 (0) | 2022.08.03 |
지지 않는 것이 더 포괄적이며, 큰 의미를 갖는다 - 3개의 질문으로 주식시장을 이기다 (0) | 202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