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冊)

우리가 본 한국전쟁

by Khori(高麗) 2014. 7. 1.
728x90
반응형

[도서]우리가 본 한국전쟁

임인식 사진/임정의 편
눈빛 | 2008년 06월

내용 편집/구성 구매하기


해방까지 눈빛 아카이브 책을 보다보니 이후 한국전쟁과 근현대사가 있는지도 찾아보게된다. 무엇인가를 흐름을 갖고, 어떤 일정한 틀로 꾸준히 본다는 것이 하나의 재미라면 재미일듯 하다. 


이녀석은 조금전에 본 녀석과 달리 A4사이즈 형식의 사진이다. 몇몇 책은 사진작가들의 작품집이거나 역사에 대한 사료수집의 형태가 많다면 이 책의 구성은 독특하다.


임인식(1920-1980) 대위, 육사8기생 출신으로 한국전쟁에 국방부 정훈국 사진대 대장으로 최전선을 돌며 남긴 사진이다. 한강다리가 폭파되고, 낙동강 다부동전투, 인천상륙작전, 서울수복, 평양점령등 한국전쟁 속에서 군인들의 이동경로와 함께 사진이 같이 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의 아들 (임정의)씨의 아버지에 대한 소개글과 그도 다시 아버지와 같은 사진의 세계에 살아간다는 것이다. 


한국전쟁과 관련하여서 반공교육세대를 넘어서 개인적으로도 많은 영상자료들을 찾아서 보기도 했다. 그리고 이 책속들의 사진은 참으로 낯설기도 하다. 그런데 아주 생생하다는 장점이 있다. 



위의 사진처럼 그는 매일의 기록을 사진과 함께 남겨두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진과 그때 그때의 기억을 좀더 생동감있게 볼 수 있다. 


전쟁이란 참 참혹하다. 해방을 맞아 3년의 군정기간과 정부수립, 그리고 혼란속에서 한국전쟁은 북의 침략으로 시작되었다. 하지만 전쟁발발이전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우리의 뜻과 달리 그어진 38선에서 죽어나간것도 사실이다. 식민지시대 친일의 논란과 한국전쟁의 공훈이 교차하며 백선엽장군에 대한 논란이 많다. 어째던 그는 과와 공이 공존하는 시대흐름속에서 강인한 생존력을 보여준 존재이다. 그 이상의 평가는 글쎄...


928 서울수복이라고 하는데 이 책의 기록을 보면 927이 맞는듯 하다. 완전하게 적을 의정부까지 몰아낸 시점인지는 모르겠다. 927당시 이젠 기억도 가물가물한 중앙청으로 진입하는 국준의 사진이다. 이 사진을 보면서 나는 여러가지의 생각을 갖게 된다. 한가지는 일제식민지 시대의 상징적 건물과 피폐해진 시대를 생각해보고, 다시 그 후 전란으로 인해 피폐해진 대한민국의 재현된 상흔이라고나 할까..두번의 아픔이 한장의 사진에 담겨있다고 생각한다.



요즘도 북한은 심각한 존재이다. 남대문 부근이라고 생각되는 서울시의 가옥중 지붕이 제대로 붙어 있는 가옥이 없다. 



전소된 종각과 불에 그을린 종은 참혹한 현실을 말해준다. 한국전쟁이 발발할때 태어난 사람들이 이젠 우리나이로 65세다. 전쟁을 조금이라도 기억할려면 다들 70세를 넘긴 어르신들이다. 당시 전투를 했던 분이라면 80-100세사이의 분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요즘도 심심찮게 전쟁불사를 말하는 무책임한 사람들을 보면 제정신인가한다. 침략은 단호히 대처해야하지만 전쟁불사라는 용어를 쓰다니..


군인임에도 무고한 양민학살피해자들에 대한 글이 나온다. 북한군의 만행을 파악된 사진들..한국전쟁의 520만의 인명피해를 말하지만 제대로 집계가 됬다고 보기도 어렵다. 단기장 좁은 장소에서 가장 많은 민간인 피해를 낸 전쟁이 한국전쟁이다. 책의 내용과 엇나가지만 미국자료영상등을 보면 한국,북한등 서로 누가 더 민간인을 죽였다고 말할 자격이 없다. 애꿎은 사람들이 너무 많이 죽은 전쟁이기 때문이다. 


평양을 진입한 뒤의 사진이다. 책에 "단상에 나타난 이승만 대통령"이란 설명문구가 많은 생각을 하게한다. 식탁통치요청에 대한 단재의 말을 떠나서, 북진통일을 외치다 전쟁 발발 후 다리 끊고, 대구까지 피난갔다가 너무 많이 가서 다시 대전까지 온 비겁한 통치자라고 생각한다. 한국전쟁발발때 참모총장 채병덕처럼 백의종군하며 야전에서 전사하라는 것을 바라지는 않는다. 정신못차린 망령난 노인네가 계속 전쟁 후에도 북진통일 헛소리를 하면서 휴전협상이 장기화되어 더 많은 인명피해를 만들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런 헛소리에도 불구하고 클라크는 휴전협정에 조인한다. 이런 바보같은 짓이 휴전협정의 당사국임에도 당사자 자리를 제대로 차지하지도 못하는 등신짓을 계속한 셈이 되버렸다. 


몇년전 인민군의 붙이지 못한 편지에 대한 기사와 책이 유행했다. 이 책속에 학도병의 애절한 편지가 남아 있다. 포화속으로라는 영화를 연상케하는 편지이다. 죽는게 두렵지 못하지만 가족을 못 보는게 더 두렵다. 빨래해서 입는 옷이 수의처럼 느껴진다는 글...그리고 적들이 오기에 다시 쓰겠다는 말..또 꼭 살아가겠다는 말..그 글이 그의 처참한 죽음속에서 발견되었다는 사실...그 글은 오래 기억될 것같다.


또 한가지 기억될 사진이 나에겐 두가지가 있다. 물론 입장의 차이가 존재하기에 충분히 보는 시각에 따라 비판적인 목소리가 있을 수 있다. 식민지시대에 아녀자들이 주먹밥을 싸던 사진이 기억난다. 그런데 종군기자의 사진속에 여고생들이 주먹밥을 싸는 사진이 교차된다. 30년대말 2차대전과 일본이 전쟁에서 밀리기 시작하며 총동원령등으로 학군을 모집하기 위한 연설등의 사진이 있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많은 학생들이 군으로 몰려가 총을 달라고 지원하기도 하고, 포항처럼 11시간동안 국군이 수송등 전력을 재배치할 시간을 벌어준 혁혁한 공이 학도병들에게 있다. 자랑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내 마음한켠에 어린 학생이 학도병모집연설을 하는 것을 보니.. 그 두 사진의 주체와 목적은 다르지만 똑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름이라면 自主가 아닐까도 생각해본다. 독립이 아닌 해방의 결과가 만든 참혹한 전쟁이란 생각이다. 


왠지 저 불타오르는 한강다리처럼 기분이 휑하다..한국전쟁관련 사진책을 좀더 볼 계획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