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_인문_사회_정치 (冊)

공부와 열정

by Khori(高麗) 2013. 6. 2.
728x90
반응형

[도서]공부와 열정

제임스 마커스 바크 저/김선영 역
민음사 | 2013년 05월

내용 편집/구성 구매하기


사람은 태어나면서 혼자라는 생각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를 구성하고, 마음 가는 곳을 따라다니며 전혀 다른 객체들에게서 교집합을 찾아간다고 생각한다. 공부라는 것은 그 과정속에서 하나는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깨달음, 다른 하나는 교집합이란 시스템 속에 존재하기 위한 보편적 지식이란 것을 습득하게 된다고 생각한다.

버커니어 지식인이라고 명명된 바크를 통해서 조금은 자유의지에 따른 지식의 습득이란 부분을 많이 생각하게 된다. 사회에 존재하는 제도와 시스템을 모든 개인에게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제도가 나의 생활을 24시간 쫒아다닐수도 없고, 다만 이런 제도를 통해서 최소한을 보장하고, 문명이란 것이 이 최소한을 계속 상향평준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회사의 시스템도 평균을 보증하고 증진하기 위한 것이고 제도화된 교육제도라는 것도 이와 유사한 원리라고 생각한다. 더 넘어서면 복잡한 철학, 이념등의 문제가 생기겠지만 서로 잘났다고 옳다고 이야기하는 것으로하고 넘어가고 싶다. 중요한것은 평균을 월등히 넘어서게 되거나 월등히 낮아진 경우가 문제일 뿐이다. 해적이란 표현이 월등히 뛰어난 존재라기 보단 자유로움의 상징이라 생각되고, 그 속에서 시스템보다 뛰어난 자각과 사고를 할때엔 사실 시스템이 훨씬 더 많은 제약의 상황이 될때가 많다고 생각한다.  시스템과 씨름하는 수준과, 시스템을 이해하고 관찰할 수 있는 차이는 엄청나다. 경기의 룰을 인지한자와 인지하지 못한자의 차이이니까.

바크란 존재가 의도적이던 의도하지 않던 제도권의 시스템을 넘어서게 된 배경은 분명 아버지란 존재의 자극과 자신이 길을 걸어가면 만났던 좋은 사람들과 그들에 대한 그의 태도가 많은 영향을 준것같다. 그리고 평균이상을 뽑아내는 시스템을 넘어설때 어떻게 스스로 공부해가야하는지를 보여준 한 예라고 생각한다. 내가 후배들에게 현재의 모습은 당신이 지난 십년간 열심히 산 결과라고 이야기하고 현재를 열심히 살아가야 하는 이유가 십년뒤 당신의 모습을 결정한다고 말해왔다. 학교를 떠와 무엇인가를 열심히 공부하지 않는 다는 것은 결국 평균에 안주하는 것이라는 생각이다. 또 잡을수 없는 시간의 흐름에 낙오하는 지름길이 된다. 결국 나같이 평균적이거나 그 이하인 사람은 좀더 나이먹어 어렴풋이 알게 되고, 바크와 같이 좀더 사색적이고 똑똑한 사람은 일찍 자각한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부럽지는 않다. 늦게 돌아오면 서 또 내가 본것들이 필요할때도 있고, 돌아갈수 없는 것을 후회하는 것은 바보같은 짓일뿐이다.

하지만 7장에서 말한 무엇인가에 미친듯이 몰입하여 공부하고, 다시 이완하고 무엇인가 몰입할 것을 순환과 연관관계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찾아가는 것은 두뇌나 지식의 문제가 아니라 태도와 열정의 접근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최근 몇년간 나의 가장 큰 고민이 나의 꿈이 무엇인가이다. 잠시 이완의 시기일수도 있고, 너무 길어지지 않게 채근하기도 하고. 또 굉장히 어렵기도 하나. 예전엔 그냥 근거리의 것에 집중하다 조금 시야가 넓어지고나서는 훨씬 균형잡기가 어려울때가 많다.

무엇보다 이책의 4장에서 언급한 독학의 비결은 제도권 교육을 떠나 인생의 커리큘럼을 스스로 짜는데 많은 참조가 된다. 가장 핵심적인 장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맥락을 갖고 207페이지에 언급된 스스로의 학습계획서를 보면 열정과 태도를 자신이 하고자하는 것에 집중되었을때 인간의 사고가 얼마나 체계적이고 다차원적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 한가지 예라고 생각한다. 

한가지 재미있는 것은 Testing이란 직업은 매우 고난하다. 개발하고 창조하는 사람들의 문제점을 지적하지만 문제를 직접해결하는 것은 보편적으로 다시 개발하는 사람들이다. 보통 잘해야 본전이고, 문제가 필터링되지 않으면 개발보다 더 많이 욕을 먹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렇다고 그 위의 구조에서 업무를 통제할 수도 없다. 그럼에도 이렇게 유연하고 자유로운 사고와 열정을 갖고 간다는 것은 분명 그의 매일매일이 아주 조금씩 달랐을것 같다. 그것이 그가 자신의 일에 대한 공부, 그리고 자신의 일에서 체득된 깨달음을 다른 분야로 확장하여 통섭할 수 있는 것은 국문학자가 컴퓨터공학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공부하면 국문학자도 되고, 컴퓨터 공학자도 될수 있는 근본적인 학습방법의 예를 말한것 같다.




728x90
반응형

'철학 _인문_사회_정치 (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판적 지성인은 무엇으로 사는가  (0) 2013.07.08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  (0) 2013.06.21
화(Anger) - Thich Nhat Hanh  (0) 2013.05.26
통섭적 인생의 권유  (0) 2013.05.24
머리를 9하라  (0) 2013.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