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공연 (劇)

공작 - The Spy gone North

by Khori(高麗) 2018. 8. 26.
728x90
반응형

 저녁에 밥 먹다 둘째랑 영화를 보러가기로 했다. 공작이 인기가 있다는 아이의 말에 얼른 예약을 했다. 같이 식사를 하시는 어머니와 나, 손자의 세대가 다르다. 한국전쟁때 국민학교를 다니시면 전후 험난한 시대와 고도 성장기를 보낸 사람, 보릿고개가 없어지고 발전된 나라의 안락함과 민주화라는 시대를 거쳐온 사람, 밀레니엄 시대를 넘어 데이터의 시대이 윤택함을 즐기는 세대가 앉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모두 각자의 시대의 경험과 추억, 트라우마를 갖고 있다. 불쌍한 사람이라고 언제나 마음을 쓰던 사람이 감옥에 가고 난 뒤, 전후세대인 어머니의 태도가 조금 변했다. 나도 통쾌함의 시기를 지나서 그 시대를 듣는대로 믿고 살아온 분의 상실감을 조금은 이해할 듯 하다. 맥락없이 벌어지는 세상 이야기가 손자녀석에게는 도통 잘 알 수가 없는 일일 것이다.


 아이와 시대극을 보긴 하지만 내가 살아온 시대를 영상을 통해서 마주않아 보는 것은 처음인듯 하다. 내 생각을 이야기 하는 것보다 아이의 생각을 들어보는 기대를 안고 극장으로 향했다. 마트에서 과자를 사며, 이 과자가 언제 나왔는지, 그 때에는 고급과자라 비쌌다는 둥 서로의 시대를 과자하나로 이어가는 셈이다. 콜라도 하나사고, 나는 진한 맛과 향이 좋아서 콜드브루를 하나 샀다. 시간을 흘러가지만 시간속에서 서로 기억나는 추억, 경험과 행동은 시대와 상관없이 앞서거니 뒷서거니 한다. 그래서 세상은 재미있고, 기가막히기도 한다. 극장 한켠에 비치된 Top Gun이란 영화 포스터가 새롭다. 저 젊은 청년이 지금은 미션 임파서블을 20년째 찍고 있으니 말이다.


 공작의 주제인 흑금성은 어렴풋이 들어본 것 같기도 하다. 애니콜 광고에서 남북합작 광고도 지금 다시 찾아보는 유투브를 보니 기억이 난다. 그 시대가 IMF가 한국을 관통하고, 그 시대에 사회에 진출하던 기억의 잔재가 사실 많은 기억을 지워버린것 같다. 삶에 있어 외부적으로 가해진 충격을 기억하고 싶지 않기 때문일지 모른다. 그래도 최근 팟캐스트를 통해서 흑금성의 이야기를 들어본 것이 영화를 보는데 더 흥미를 주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상식적으로 남파된 간첩이 있다면 북파된 간첩과 공작원도 있을 것이다. 서로 아군의 존재를 부인하는 체재 유지 시스템과 몰인정이 있을 뿐이다. 


 그래도 공작원이 북한의 최고 존엄을 만났다는 것, 전략적 성과와 부수적인 성과가 존재한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 흥미진진한 역사의 한 단면이 잘 윤색되었다고 생각했다. 반면 청소년은 전반적인 이야기의 흐름이 지루하다. 액션이 있는 것도 아니고, 역사적인 배경지식이 부족하다. 중간중간 "왜에~~?"가 딸린 질문과 "호연지기가 뭐야?"라는 질문이 난무하다. 그 잘 난 중2병 환자도 극장에서는 조용하다. 


 영화를 보면 부모님 세대는 전후 성장을 택하고 자유를 포기당했다고 본다. 그리고 내가 살아가는 세대는 적정한 성장과 자유와 평등을 지향하며 강압적인 정치체제를 거부하기 시작했다. 아이들은 아마도 더 낮은 성장, 자유, 평등이 더 풍요로워진 시대를 살아갈 것이라고 믿는다. 아니 그렇게 해야한다. 87년 이후 겨우 30년 정도 치열한 변화와 도전, 구시대의 버티기와 관행이 격렬하게 투쟁하며 민주주의라는 제도적 정착을 하고 있다. 아직도 진행중이다. 먹고사는 문제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먹고사는가는 인간의 존엄과 같이 더 중요한 일이다. 이 두가지에 나는 선후는 없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사람답게 살아가야하고 사람답게 행동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북한은 언제나 설국열차의 꼬리칸처럼 우리에게는 적대시하는 존재로 각색되고 부족하고 나쁜 상징이 되었다. 하지만 그들도 사람이고 하나의 역사를 공유하는 존재들이다. 그런데 그렇게 각색하고 윤색하여 빨갱이라고 상징을 만든 사람들은 그들과 서로 기대어 그들의 체제를 유지한다. 정과 반이 서로 균형있게 기대지 않으면 합이란 없다. 분명 일부 당사자들은 고도의 정치외교 기술이라고 말할 것이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런 이들을 위정자라고 부른다. 





 그 위정자들이 만든 규칙이 그들에게도 공통하게 적용되길 기대한다. 적을 이롭게 하면 적으로 간주한다. 그런 법으로 많은 국민을 통제하고 참혹한 상황으로 내 몰았다. 그들보다 더 적극적으로 가담한 그들은 반역, 역적이라 불러도 모자람이 없다. 나는 역적에게는 공소시효가 없어야 하고, 용서란 없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래야 나라가 바로 서는 것이다. 이런 역사의 증거란 차고 넘친다. 그것을 실행하지 못하고 주저앉은 역사적 증거도 차고 넘친다. 이런 역사적 교훈과 사실이 우리의 가야할 방향을 더 명확하게 한다.


 이 처장이 한 번 믿기 어렵지 한 번 믿으면 확실하게 믿는다는 대사를 한다. 그리고 도청을 한다. 적으로 간주된 소속의 사람에 대해서 끊임없이 확인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지만 서로에게 신뢰를 그리는 모습을 보여준 영화를 통해서 인류애, 사람에 대한 진심은 깊은 삶의 여운을 남긴다는 것이다. 이념과 체제를 넘어서는 것도 사람이기에 가능하다는 생각이다.


 최근 극동아시아에 불고 있는 화합의 훈풍과 언제나 이 훈풍에 콧물을 떨구려는 섬나라 잡것, 많은 사람들이 안달나게 깔짝깔짝 거리며 자신의 실리와 패권을 유지할 방법을 찾는 천조국 사람들의 행동을 본다. 이것이 19세기 후반의 복잡한 극동아시아 역사를 원초적으로 만들어 낸 구도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런 역사적 인식, 민족 주체성과 발전된 민족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갖고 다음 세대를 그려나갔으면 한다. 통일은 도둑처럼 온 해방이 진정한 민족의 축제가 될 수 있는 시금석이다. 과거의 공작과 밀약, 반복의 시대가 화합과 발전의 시대를 그리는 이야기로 바뀌어가길 바란다. 이런 영화가 있었다는 것이 어쩌면 한반도의 아픈 현실이다.



728x90
반응형

'영화 공연 (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류사회  (0) 2018.10.10
동주 -2016  (0) 2018.09.02
The Bookshop  (0) 2018.08.19
신과 함께 - 인과연  (0) 2018.08.19
Mission Impossible - Fallout  (0) 2018.08.03